소양인 관련 한의표준 임상진료지침 2022 발췌
작성자 정보
- 삼둡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72 조회
- 목록
본문


표한병의 역증인 망음병에 해당하는 증상을 소증으로 가지는 경우 현증은 대부 분 망음병 현증으로 발현되고, 일부 리병의 역증인 음허오열병으로 전개된다. 즉 신국 음기가 손상된 표한병의 역증인 망음병은 많은 경우 표병역증의 소증인 망음병소증을 가진다. 대표적인 표병역증의 소증으로 스트레스를 받거나 건강상태가 좋지 못할 때 설사를 하게 되는 것과 항심인 구심(懼心)이 안정되지 못하여 심병증(心病證)으로 발 전한 ‘건망(健忘)’ 등의 성정편급심화증이 있다. 건망은 단순 기억력 장애가 아닌 극심 한 심리적 불안 상태를 지칭하는 것이다.


리열병의 역증인 음허오열병에 해당하는 증상을 소증으로 가지는 경우 현증은 대 부분 음허오열병 현증으로 발현되고, 일부 표병의 역증인 망음병으로 전개된다. 즉 신 국음기가 손상된 리열병의 역증인 음허오열병은 많은 경우 리병역증의 소증을 가진 다. 리병역증의 소증으로는 리열의 증상과 이에 표한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오열(午 熱), 배한(背寒), 구역(嘔逆) 등이 있으며, 건망(健忘) 등의 소양인 성정편급심화증이 동반된다.




<소양인 표한 소증> [표한 소증] 추위에 예민하다. 손발 또는 몸이 차다. 머리가 아프다. 관절통 또는 근육통이 있다. 입안이 쓰다. 90 II사상체질병증 개요 [표한 소증] 목이 마르다. 현기증이 난다. 가슴 또는 옆구리가 답답하다. 대변이 무르다. 갈증이 나도 물을 많이 마시지는 않는다. 갈증이 나서 물을 마시면 속이 메슥거린다. 명치가 그득하고 답답하다. 명치가 뭉쳐 단단하다. 얼굴이나 손발이 붓는다. 얼굴색이 하얀 편이다
[표병역증 소증] 스트레스를 받거나, 건강상태가 좋지 못하면 대변이 무르거나 설사를 한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건강상태가 좋지 못하면 배가 아프다. 불안하고 초조하다. 집중력이 떨어진다. 잠들기가 어렵거나 수면 도중에 자주 깬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